중동은 지금/역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1~4차 중동전쟁을 정리해보자 1. 제 1차 중동전쟁 제 1차 중동전쟁은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포한 바로 다음날 시작되었습니다. 존재 자체를 용납 못한다는 거죠! 이집트,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를 비롯한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일방적으로 침공했습니다. 전쟁 초반에는 병력으로 밀어붙인 아랍 국가들이 이기는 듯 했습니다. 전쟁을 시작하기 전부터 아랍국가는 자신만만했고, 사람들도 당연히 아랍이 승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고요. 그러나 이스라엘이 외국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는 변수가 있었죠!! 그러면서 전세가 역전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1949년 1월 7일에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승리로 전쟁이 끝났고 이스라엘은 서부 팔레스타인 지역의 80%를 차지하는 등 영토까지 확장한 셈이 됩니다. (아래 지도는 전쟁 후 영토 변화를 나.. 더보기 중동의 역사 -- 오스만 투르크 제국(by 현우경) 안녕 여러분? ㅎㅎ 역사 읽어주는 여자가 돌아왔어요 ㅋㅋㅋ 이번에 볼 나라는 지원이의 추천으로 ‘오스만 투르크 제국’입니다! 여기에서 ‘투르크’ 는 투르크족을 뜻하는데.. 투르크..투르크,, 두르크,, 두르그,,두,,돌궐!?!?네 ㅋㅋㅋㅋ 고구려 이웃(?) 이었던 그 돌궐과 투르크는 같은 민족입니다 ㅋㅋ 우리의 고대 역사를 함께 했던 이 민족이 오늘날의 터키 지역까지 오게 된 계기는 당시 강력했던 몽골군(티무르)에게 쫓긴 탓이야. 이 지역은 동로마제국과 가까이 붙어있던 곳이라 자연스레 잦은 전쟁을 거쳤고, 이 중에서 가장 강력했던(?) 국가가 ‘오스만’에 의해 세워진 나라였어! 그래서 창건 군주의 이름을 따서 오스만 투르크 제국(1299~1922)이 된 거고! 오스만 투르크제국은 약 4대 술탄을 거치면서.. 더보기 중동의 역사 2(이집트 하)-- by 현우경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다음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BC 305∼BC 30시기로 알렉산드로스의 죽음 이후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 프톨레마이오스가 신왕조를 시작했지. 헬레니즘 문화가 번영하고, 그리스와의 교류가 무척 활발했으며 점차 번영을 되찾았어. 그렇지만 마지막 파라오 클레오파트라 7세가 죽고 난 뒤 이집트는 로마의 속주가 되고 끝이 나. 로마 통치(BC 30∼641) 이슬람 시대 이슬람교로 단결된 아라비아인들이 이집트에 진출한 것은 640년 초~ 641년 말이야. 아라비아인들은 이집트를 사라센 왕국의 ‘주’ 정도로 삼고, 칼리프가 파견하는 총독이 세금을 걷어 갔지. 이때부터 나오는 왕조라던가 이집트의 정세는 이집트 내부의 상황이 아니라 전체 중동 (특히 투르크)의 상황에 좌지우지되지. 아라비아인들이 처음 .. 더보기 중동의 역사 시리즈 1(이집트 상)-- by 현우경 중동의 역사 —나라별로 1.터키2.이집트3.이스라엘4.이란 안녕 얘들아 난 우경이야 ㅋㅋㅋ 아 그래 내가 중동앓이에서 역사 관련 포스팅을 맡으려고 해 근데 시작하려고 하니까 엄청 막막하더라고 ㅠㅠ 나라도 한 두개가 아니고 특히 최근에는 여러 복잡한 일도 많고 ㅠㅠㅠㅠ 그래서 전체를 아우르는 그런 것은,, 아직 내 수준이 부족하고 일단 내가 관심 있던 나라부터 한 두개씩 집중적으로 훑는(?) 방식으로 쓸게! 아직 계획은 구체적이지 않는데 위에 나와 있는 나라들을 우선적으로 쓸 거야 순서는 나도 모르고 ㅋ 그래그래 잘 봐줘~! 이집트의 역사 말투는 좀 구어체로 쓸게 혹시 기사로 바꾸는 과정에서 귀찮게 되는 것은 아니지?ㅠ 중동의 여러 나라 중에서 내가 제일 좋아하던..(개인적으로 ㅋ) 이집트부터 시작하자! ..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