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은 지금

시리아 사태, 어떻게 보시나요? 여러분 ! 최근, 아니 벌써 최근이 아니게 된 때에 발생해서 지금까지 지속되고 있는 시리아 사태에 대해서 들어보셨을 겁니다. 못 들어보셨다구요? 그럼 간단히 시리아 사태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가도록 하죠. 복사 붙여넣기 신공 ! 2011년 1월 26일부터 2012년 현재까지 시리아에서 일어나고 있는 내부 갈등이다. 반정부 시위는 1월 26일부터 시작되었으며, 봉기는 3월 15일 부로 확대되었다. 이 봉기는 주변 국가들의 반정부 시위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례가 없는" 시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튀니지, 이집트의 혁명 운동처럼, 행진, 단식, 파업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항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지속적인 시민 저항 운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지난 10년 동안 시리아 내에서 일어난 최대의 봉기로서, 시리아 .. 더보기
이집트 정치를 이해하기 위한 키워드, 무슬림 형제단 ▷ 무슬림 형제단의 마크원 안에 끝이 두 개의 칼이 X자를 이루고 있고, 그 사이에 이슬람교의 경전인 쿠란이 놓여 있습니다.칼 손잡이 사이에는 쿠란 구절을 인용한 '준비하라'라는 뜻의 아랍어가 써져 있습니다.'알라에 대적하는 세력에 대해 모든 힘을 다해 싸워 이기도록 준비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무슬림형제단은 이집트에서 설립된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이슬람 근본주의 조직입니다. 무슬림 형제단의 이념과 행동양식이 아랍지역, 이슬람 지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유럽의 무슬림 사회에까지 깊은 영향을 미칠 만큼 영향력이 큰 단체입니다. 잠깐! 여기서 ‘이슬람 근본주의’란? ‘근본주의’란 원래 이슬람교에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기독교에만 있습니다. 근본주의는 기독교 교파의 하나로 성서의 말 .. 더보기
중동의 역사 2(이집트 하)-- by 현우경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다음은 프톨레마이오스 시대! BC 305∼BC 30시기로 알렉산드로스의 죽음 이후 그의 영향에서 벗어나 프톨레마이오스가 신왕조를 시작했지. 헬레니즘 문화가 번영하고, 그리스와의 교류가 무척 활발했으며 점차 번영을 되찾았어. 그렇지만 마지막 파라오 클레오파트라 7세가 죽고 난 뒤 이집트는 로마의 속주가 되고 끝이 나. 로마 통치(BC 30∼641) 이슬람 시대 이슬람교로 단결된 아라비아인들이 이집트에 진출한 것은 640년 초~ 641년 말이야. 아라비아인들은 이집트를 사라센 왕국의 ‘주’ 정도로 삼고, 칼리프가 파견하는 총독이 세금을 걷어 갔지. 이때부터 나오는 왕조라던가 이집트의 정세는 이집트 내부의 상황이 아니라 전체 중동 (특히 투르크)의 상황에 좌지우지되지. 아라비아인들이 처음 .. 더보기
중동의 역사 시리즈 1(이집트 상)-- by 현우경 중동의 역사 —나라별로 1.터키2.이집트3.이스라엘4.이란 안녕 얘들아 난 우경이야 ㅋㅋㅋ 아 그래 내가 중동앓이에서 역사 관련 포스팅을 맡으려고 해 근데 시작하려고 하니까 엄청 막막하더라고 ㅠㅠ 나라도 한 두개가 아니고 특히 최근에는 여러 복잡한 일도 많고 ㅠㅠㅠㅠ 그래서 전체를 아우르는 그런 것은,, 아직 내 수준이 부족하고 일단 내가 관심 있던 나라부터 한 두개씩 집중적으로 훑는(?) 방식으로 쓸게! 아직 계획은 구체적이지 않는데 위에 나와 있는 나라들을 우선적으로 쓸 거야 순서는 나도 모르고 ㅋ 그래그래 잘 봐줘~! 이집트의 역사 말투는 좀 구어체로 쓸게 혹시 기사로 바꾸는 과정에서 귀찮게 되는 것은 아니지?ㅠ 중동의 여러 나라 중에서 내가 제일 좋아하던..(개인적으로 ㅋ) 이집트부터 시작하자!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