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은 지금

이슬람 지하드 2. 하마스 Hamas 중간고사가 끝났다!! 이제 다시 활동 개시ㅋㅋ지난번 헤즈볼라에 이어 하마스에 대해 알아볼게. 하마스 Hamas 우리가 영종도에서 불꽃튀는 시험을 치루고 있을 때 그니깐 정말 며칠 전 4월 30일에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폭격을 가했음. 이번 공습은 팔레스타인이 그 전에 로봇포 사격을 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하는데.. 폭력과 그에 대한 정당화..는 하나의 패턴이 된 것 같습니다. 웬만한 공습이 아니면 이제 보도에서도 크게 다뤄지지 않고, 따라서 세계 사람들의 이목도 끌지 못하고..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입니다. 헤즈볼라처럼 합법적인 정당조직이기도 합니다.하마스는 이스라엘의 존재조차 인정하지 않습니다. 중동평화교섭을 비롯한 모든 정치적 협상 자체가 이스라엘의 유지를 전제로 한다.. 더보기
중동 평화 협정의 주요 교섭점 및 plo합의 내용 1. 평화 교섭의 주요 대립점 1)이스라엘 vs 시리아이스라엘 : 철수문제를 포함한 골란 고원의 장래에 대해서는 외교관계 수립 등 양국 관계 정상화와 병행해서 교섭한다. 철수라는 것은 반드시 ‘전면철수’를 의미하지 않는다.시리아 : 이스라엘이 먼저 골란 고원에서 전면철수를 표명한다. 평화조약 체결과 안전보장조치 등에 대해서는 그 후에 교섭한다. 2)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이스라엘 : 자치평의회는 행정권만을 갖고, 15명으로 구성된다. 자치의 권한은 팔레스타인 아랍 인이 많이 사는 지역에만 주어지고, 동예루살렘과 유대 인 정착지에는 주어지지 않는다.팔레스타인 : 입법권을 갖는 180명으로 된 자치평의회를 수립한다. 자치의 권한은 동예루살렘을 포함 서안·가자 전역에 미친다. 유대인 정착지도 자치평의회의 관할.. 더보기
☆영화로 보는 중동_ The Kite Runner 연을 쫓는 아이☆ 안녕하세요 여러분.. 밤이 깊었네요 이번 포스팅의 주제는 영화로 보는 중동 - 영화 연을 쫓는 아이입니다. 연을 쫓는 아이 모두 읽어보셨나요? 또는 영화로? 저는 둘 다 해보았는데 책의 감동이 더 크고, 좀 더 현실적이랄까요.. 영화는 많은 부분을 생략하고, 잘라낸 게 눈에 보입니다. 책의 수위가 더 높다고 보면 되겠네요. 흠.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프가니스탄의 생활상에 대해서 보여드리려고 합니다. 물론 과거죠. 1970년대의 아프가니스탄, 그리고 2000년 대 탈레반이 장악했을 시기의 아프가니스탄입니다. 캡쳐와 함께 보시죠! 으악 캡쳐 망함.. 자, 위의 모습들이 70년대였어요. 어딘가 따뜻하고, 정감가는 모습이었죠.. 아이들은 뛰어다니고 길가에는 양고기 케밥냄새, 무화과가 굴러다니는 곳이었어요. 하지만.. 더보기
po소셜미디어wer, 중동의 소셜혁명 안녕하세요 김 건입니다!! 이송아의 반인륜적 인권침해 포스팅(ㅋㅋ)을 보고 멘붕상태에서 쓰는 글이라 제대로된 글을 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최대한 정신줄 잡고 써보겠습니다 ㅋㅋ 최근 많은 사람들, 아니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SNS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SNS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멀티미디어, 이재현, 2012)'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SNS로는 싸이월드가 있는데, 요새는 페이스북을 많이 이용하죠. 특히 인국고의 일요일 밤 페이스북 접속률은 굉장하다는 소문이..ㅋ 근데 왜 SNS 얘기를 했냐구요? 오늘은 중동의 민주화 사태에서 SNS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자 그럼 재스민 혁명에서의 .. 더보기
★중동의 스.타.들.★ by 이송아 안녕하세요 여러분 반가워요ㅋㅋㅋㅋㅋ 제가 포스팅할 주제는 이름 하여 ★중동의 스.타.들.★ 인데요ㅋㅋㅋ 조사하려고 네이버에 중동 연예인을 쳤더니 부천시 원미구 중동 연예인 육성 사이트밖에 안나오네요 ㅋㅋㅋ 그래도 별로 없을 줄 알았는데 찾다보니까 중동 ★스.타.들.★이 꽤 많아요. 그 중 마음에 드는 인물을 몇 골라서 시작 :) 1. Haifa Wehbe 제일 먼저 소개할 중동의 스타는 Haifa Wehbe인데요 ( 이하 하이파) 하이파는 한마디로 중동계의 이효리라고 할 수 있는 스타인데 1976년 레바논에서 출생! 현재까지 네개의 앨범을 냈고 펩시에서 만든 영화 별들의 바다?( Sea of stars)에 출연했다고 하네요 ㅋㅋ 미스 사우스 레바논으로도 뽑히고 2006년에 피플즈 매거진에 50명의 이쁜 .. 더보기
이슬람 지하드 1. 헤즈볼라 Hezbollah 지하드는 '성전', 성스러운 전쟁을 말합니다. 이슬람교도에게 주어진 5가지 종교적인 의무 중 하나죠. 이슬람에 대한 책을 읽거나 중동지역에서 단지 종교 때문에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볼 때마다 그들의 경전인 쿠란이 정말 저런 의미의 지하드를 실천하기를 바랐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지하드 단체들을 이번 포스팅부터 하나씩 연재하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장단체라는 건 알았지만 그냥 간과했던 여러분을!!!....아니 나를 위한 포스팅!!!... 헤즈볼라 Hezbollah 중동지역 최대의 무장단체. 특이한 건 무장단체임과 동시에 합법적인 정당이라는 거! (레바논에서 12석의 의석을 갖고 있음) 창설은 1982년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침공했을 때 이에 맞서기 위해 조직되었음. 현재 헤즈볼라 본부.. 더보기
중동의 역사 -- 오스만 투르크 제국(by 현우경) 안녕 여러분? ㅎㅎ 역사 읽어주는 여자가 돌아왔어요 ㅋㅋㅋ 이번에 볼 나라는 지원이의 추천으로 ‘오스만 투르크 제국’입니다! 여기에서 ‘투르크’ 는 투르크족을 뜻하는데.. 투르크..투르크,, 두르크,, 두르그,,두,,돌궐!?!?네 ㅋㅋㅋㅋ 고구려 이웃(?) 이었던 그 돌궐과 투르크는 같은 민족입니다 ㅋㅋ 우리의 고대 역사를 함께 했던 이 민족이 오늘날의 터키 지역까지 오게 된 계기는 당시 강력했던 몽골군(티무르)에게 쫓긴 탓이야. 이 지역은 동로마제국과 가까이 붙어있던 곳이라 자연스레 잦은 전쟁을 거쳤고, 이 중에서 가장 강력했던(?) 국가가 ‘오스만’에 의해 세워진 나라였어! 그래서 창건 군주의 이름을 따서 오스만 투르크 제국(1299~1922)이 된 거고! 오스만 투르크제국은 약 4대 술탄을 거치면서.. 더보기
중동 대표 독재자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다ㅠㅠ 게다가 가입도 못해서 부장님아이디로 올리게 되어 매우 부끄럽습니다... 부족하지만 열심히 끄적여 볼테니 그냥 눈요기로 읽어주세요ㅎㅎ 중동하면 독재정치를 빼놓을 수 없죠!! 그래서 준비한 특집 기사!! 중동 대표 독재자!! 두둥 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케밥의 본고장 터키에는 어떤 독재자가 있었는지 알아볼텐데요. 독재자라고해서 다 나쁘고 포악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 터키가 근대국가로 발전할 수 있도록 불타는 애국심으로 혁명을 일으킨 오늘의 주인공은 '터키의 아버지'라고 추앙받는 분입니다. 자, 그럼 '터키의 아버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케말 파샤(Mustafa Kemal Ataturk) 재임기간 : 1923-1938 나이를 속이면서까지 전쟁에.. 더보기
중동에 진출한 우리기업 안녕하세요!오늘은 중동에 진출한 국내기업에 대해 알아볼까요?첫번째, 삼환기업 삼환기업의 전신은 1946년 세워진 삼환기업공업사로 수도, 배관, 난방 등을 전문으로 했던 회사입니다.1966년 베트남에 지사를 세우고 해외 건설 사업에 진출했으며, 이후 1960년대에만 일본 도쿄, 미국 클리블랜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해외 지사를 세웠습니다. 1973년 사우디아라비아에 지사를 세우고 카이바~알울라 구간의 고속도로 공사를 따내며 국내 건설업체로는 최초로 중동 지역에 진출했습니다. 두번째, 현대건설 1975이후로 중동 진출7080년대 세계 건설경기를 주도해 나간 중동시장에서 현대건설은 특유의 순발력과 추진력으로 대형공사를 대거 수주하며 글로벌 기업의 초석을 다짐.1975 사우디아라비아 해군기지 해상공사 준공19.. 더보기
이슬람 국가에 대한 기독교 선교활동에 관하여 종교는 우리 삶에서 매우 큰 부분을 차지한다. 우리나라처럼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에서도 개인이 어떤 종교를 믿는지에 따라서 결혼이 좌지우지되기도 하고, 생활 방식이 바뀌기도 한다. 사람들마다 다른 종교를 믿는 우리나라에서도 종교가 이렇게나 중요한데, 만약 이것이 이슬람국가에 대한 이야기라면 어떨까? 일반적으로 기독교 선교는 전도활동이다. 해외에 나가서 하나님을 전파하고 그들에게 기독교를 소개하고 권유하는 활동이다. 대부분의 교회에서는 아프리카 등지에 가서 봉사 차원에서 학교를 겸하는 교회를 지어 활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도 선교에 대한 인식이 아주 좋지는 않다. 종교의 자유가 있는 나라인데, 왜 그 종교를 믿으라고 강요하냐는 것이 이들의 쟁점이다. 그렇다면 이슬람 지역에서 기독교는 어떻게 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