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은 지금/정세

시리아 화학무기, 시리아 공습 관련 정리 (외신보도를 중심으로) 1. 시리아 화학무기 공격 2013년 8월 21일, 이집트 군부와 시위대 간 유혈 충돌로 세계의 이목이 이집트에 집중된 틈을 타 시리아 정부군이 민간인 지역에 로켓을 발사, 화학무기(사린가스로 추정)를 살포해 1000여명이 넘는 끔찍한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로이터 기사 http://rt.com/news/syria-chemical-weapons-un-775/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민간인 지역에 화학무기가 떨어져 1300명 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인명피해 수치는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심각한 상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현장 사진이 기사에 포함되어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고 봐주세요.(끔찍합니다...) SNS에 올라온 시리아 현지 상황 동영상을 모아놓음....(역시 심장이 약하신 분들은 보지않는게 좋을.. 더보기
이집트는 어디로 가나 1년 전 무바라크를 쫓아내고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무슬림 형제단 출신의 무르시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문제는 무르시가 50%가 약간 넘는 득표율로 당선이 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시작부터 무르시는 국민 절반이 반대하는 거나 다름없었습니다. 전에 월간중동에 '현대판 파라오'라 하면서 무슬림 형제단과 무르시에 대해 좀 비판적으로 본 기사를 썼었는데.. 사회도 불안정하고 온갖 경제난에 시달리는 이집트를 하루아침에 변화시키는 건 애초에 불가능했습니다. 새 대통령은 처음부터 반대파가 많았기 때문에 관련 기관들의 협조를 얻기도 힘들었고, 이집트의 상황이 워낙 심각했기 때문에 빠른 회복을 바라기도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무르시가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면서 종교적 색채를 과도하게 집어넣으려 했고 사회 개혁에 대.. 더보기
관타나모 안녕하세요 이송아입니다^^ 오늘은 진지한 주제로 포스팅을 할 건데요 . 그 주제는 바로 관타나모!! 국제법 시간에 살짝 발담그듯이 배운 관타나모에 대해 낱낱히 파헤쳐 드리겠습니다. 관타나모가 쿠바에 위치한 국제 테러범 수용소라는 것은 모두 국제법 시간에 배워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죠? 관타나모 수용소는 쿠바 남동쪽 관타나모 만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소로 인권 유린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미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비운의 장소입니다. 대체 어쩌다가 쿠바에 위치한 관타나모 수용소가 미국의 영향 하에 들어가게 되었을까요? 관타나모가 미국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된 기원은 미국-스페인 전쟁 시기로 거슬러 갑니다. 1514년 스페인은 쿠바의 전지역을 정복하고 .. 더보기
헤드라인으로 보는 지난 주 중동! 2013. 05. 14 - 2013. 05. 19 안녕하세요 여러분 차장 김나연이에요!! www.bbc.co.uk에 들어가면 지난 주의 중동을 볼수 있게 해놨어요! 자 저는 그럼 이 기사들을 통해 지난 주 중동을 보여드릴까 합니다 항상 정치적이진 않은 거 같군요 기사의 전문을 해석하기보다는 간단히 요점을 추리고, 간단한 제 의견을 다는 형식으로 진행될겁니다. 그럼 거꾸로 가볼까요! 2013.05.19 SUN Syria army 'storms' rebel town Qusair 가 HEADLINE이네요 Al-Qusair는 한 지방의 이름입니다. 이 지역은 반군에게도 정부군에게도 작전상으로 요충지라고 하는군요. 그리고 이번에는 정부군이 이 지역을 차지한 것 같습니다. 반군 사상자는 70명이라고 하는데, 정부군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un에서는 새로.. 더보기
World Economic Forum o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3 더보기
이슬람 지하드 2. 하마스 Hamas 중간고사가 끝났다!! 이제 다시 활동 개시ㅋㅋ지난번 헤즈볼라에 이어 하마스에 대해 알아볼게. 하마스 Hamas 우리가 영종도에서 불꽃튀는 시험을 치루고 있을 때 그니깐 정말 며칠 전 4월 30일에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에 폭격을 가했음. 이번 공습은 팔레스타인이 그 전에 로봇포 사격을 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하는데.. 폭력과 그에 대한 정당화..는 하나의 패턴이 된 것 같습니다. 웬만한 공습이 아니면 이제 보도에서도 크게 다뤄지지 않고, 따라서 세계 사람들의 이목도 끌지 못하고.. 하마스는 이스라엘에 저항하는 팔레스타인의 무장단체입니다. 헤즈볼라처럼 합법적인 정당조직이기도 합니다.하마스는 이스라엘의 존재조차 인정하지 않습니다. 중동평화교섭을 비롯한 모든 정치적 협상 자체가 이스라엘의 유지를 전제로 한다.. 더보기
중동 평화 협정의 주요 교섭점 및 plo합의 내용 1. 평화 교섭의 주요 대립점 1)이스라엘 vs 시리아이스라엘 : 철수문제를 포함한 골란 고원의 장래에 대해서는 외교관계 수립 등 양국 관계 정상화와 병행해서 교섭한다. 철수라는 것은 반드시 ‘전면철수’를 의미하지 않는다.시리아 : 이스라엘이 먼저 골란 고원에서 전면철수를 표명한다. 평화조약 체결과 안전보장조치 등에 대해서는 그 후에 교섭한다. 2)이스라엘 vs 팔레스타인이스라엘 : 자치평의회는 행정권만을 갖고, 15명으로 구성된다. 자치의 권한은 팔레스타인 아랍 인이 많이 사는 지역에만 주어지고, 동예루살렘과 유대 인 정착지에는 주어지지 않는다.팔레스타인 : 입법권을 갖는 180명으로 된 자치평의회를 수립한다. 자치의 권한은 동예루살렘을 포함 서안·가자 전역에 미친다. 유대인 정착지도 자치평의회의 관할.. 더보기
po소셜미디어wer, 중동의 소셜혁명 안녕하세요 김 건입니다!! 이송아의 반인륜적 인권침해 포스팅(ㅋㅋ)을 보고 멘붕상태에서 쓰는 글이라 제대로된 글을 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최대한 정신줄 잡고 써보겠습니다 ㅋㅋ 최근 많은 사람들, 아니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SNS를 이용하고 있는데요. SNS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멀티미디어, 이재현, 2012)'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SNS로는 싸이월드가 있는데, 요새는 페이스북을 많이 이용하죠. 특히 인국고의 일요일 밤 페이스북 접속률은 굉장하다는 소문이..ㅋ 근데 왜 SNS 얘기를 했냐구요? 오늘은 중동의 민주화 사태에서 SNS가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자 그럼 재스민 혁명에서의 .. 더보기
이슬람 지하드 1. 헤즈볼라 Hezbollah 지하드는 '성전', 성스러운 전쟁을 말합니다. 이슬람교도에게 주어진 5가지 종교적인 의무 중 하나죠. 이슬람에 대한 책을 읽거나 중동지역에서 단지 종교 때문에 전쟁을 일으키는 것을 볼 때마다 그들의 경전인 쿠란이 정말 저런 의미의 지하드를 실천하기를 바랐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지하드 단체들을 이번 포스팅부터 하나씩 연재하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무장단체라는 건 알았지만 그냥 간과했던 여러분을!!!....아니 나를 위한 포스팅!!!... 헤즈볼라 Hezbollah 중동지역 최대의 무장단체. 특이한 건 무장단체임과 동시에 합법적인 정당이라는 거! (레바논에서 12석의 의석을 갖고 있음) 창설은 1982년 이스라엘이 레바논을 침공했을 때 이에 맞서기 위해 조직되었음. 현재 헤즈볼라 본부.. 더보기
중동 대표 독재자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기사를 쓰게 되었습니다ㅠㅠ 게다가 가입도 못해서 부장님아이디로 올리게 되어 매우 부끄럽습니다... 부족하지만 열심히 끄적여 볼테니 그냥 눈요기로 읽어주세요ㅎㅎ 중동하면 독재정치를 빼놓을 수 없죠!! 그래서 준비한 특집 기사!! 중동 대표 독재자!! 두둥 오늘은 제가 좋아하는 케밥의 본고장 터키에는 어떤 독재자가 있었는지 알아볼텐데요. 독재자라고해서 다 나쁘고 포악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큰 오산! 터키가 근대국가로 발전할 수 있도록 불타는 애국심으로 혁명을 일으킨 오늘의 주인공은 '터키의 아버지'라고 추앙받는 분입니다. 자, 그럼 '터키의 아버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까요? *케말 파샤(Mustafa Kemal Ataturk) 재임기간 : 1923-1938 나이를 속이면서까지 전쟁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