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동은 지금

130816 국립중앙박물관 '이슬람의 보물' 전시회 나들이 중동앓이에서 다 같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하는 ‘이슬람의 보물’ 특별 전시회에 다녀왔다. 유물과 전시품 관련한 설명을 해주는 ‘도슨트’ 시간에 맞추어 가느라 좀 고생했지만(ㄱ-) 여차여차해서 많이 늦지 않게 도착했다. 보통 이슬람 하면 중동 지방만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번 전시회에서는 서남아시아, 북아프리카, 인도, 터키, 스페인 까지 광범위하게 이슬람의 문화가 미쳤던 모든 곳의 유물을 전시했다. 확실히 도슨트의 설명을 들으니 혼자 유물을 관람할 때보다 더 많은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이슬람 문화권에서 천문학이 발달한 이유는 유목민족인 이슬람 사람들이 기도를 할 때 메카 방향을 잘 찾기 위해서였다. 또 물이 부족했던 지역이었기 때문에 푸른 식물과 물로 가득 찬 정원이 ‘천국’ 같.. 더보기
시리아 화학무기, 시리아 공습 관련 정리 (외신보도를 중심으로) 1. 시리아 화학무기 공격 2013년 8월 21일, 이집트 군부와 시위대 간 유혈 충돌로 세계의 이목이 이집트에 집중된 틈을 타 시리아 정부군이 민간인 지역에 로켓을 발사, 화학무기(사린가스로 추정)를 살포해 1000여명이 넘는 끔찍한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로이터 기사 http://rt.com/news/syria-chemical-weapons-un-775/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 민간인 지역에 화학무기가 떨어져 1300명 가량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인명피해 수치는 기관에 따라 다르지만 심각한 상황임에는 틀림없습니다. 현장 사진이 기사에 포함되어 있으니 이 점 유의하시고 봐주세요.(끔찍합니다...) SNS에 올라온 시리아 현지 상황 동영상을 모아놓음....(역시 심장이 약하신 분들은 보지않는게 좋을.. 더보기
이집트는 어디로 가나 1년 전 무바라크를 쫓아내고 민주적인 절차를 통해 무슬림 형제단 출신의 무르시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습니다.문제는 무르시가 50%가 약간 넘는 득표율로 당선이 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시작부터 무르시는 국민 절반이 반대하는 거나 다름없었습니다. 전에 월간중동에 '현대판 파라오'라 하면서 무슬림 형제단과 무르시에 대해 좀 비판적으로 본 기사를 썼었는데.. 사회도 불안정하고 온갖 경제난에 시달리는 이집트를 하루아침에 변화시키는 건 애초에 불가능했습니다. 새 대통령은 처음부터 반대파가 많았기 때문에 관련 기관들의 협조를 얻기도 힘들었고, 이집트의 상황이 워낙 심각했기 때문에 빠른 회복을 바라기도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물론 무르시가 새로운 헌법을 제정하면서 종교적 색채를 과도하게 집어넣으려 했고 사회 개혁에 대.. 더보기
중동 대표 독재자2 와우 안녕하세요 완젼완젼 오랜만이네요...하하 음...사실 제 이름으로 글 올리는거 자체가 처음이에요ㅠㅠㅠㅠ감동...★ 여튼!!! 오늘은 지난번에 이어 또 한명의 독재자님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음...이분 유명하신 분이시죠...허허 바로바로............................................................................. 무아마르 카다피!!!!!!!!!!!!!!!!!!!! 그는 리비아의 국가원수로 세계 최장인 42년 동안!!!!! 독재 정치를 했던 어마어마한 분입니다. 과연 어떤 독재자였는지 알아볼까요?? 이름 : 무아마르 카다피(Muammar Gaddafi) 별명 : 아랍의 체게바라 출생 : 1942년 6월 7일 (2011년 10월 20일 사.. 더보기
문화의 척도는 역시 음식! 중동 음식에 대해 알아봅시당 음식문화는 그 나라를 대표하는 가장 큰 문화입니다!외국인들에게 특히 음식은 큰 영향을 미치죠.예를 들어서, 우리나라도 외국에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으로 널리 알려져있습니다.핫 이슈인 정치적 문제에 대해 공부하는 것도 좋지만, 앞서 본질적으로 꼭 알아야 할 중동 음식 이제부터 배워봐요~먼저 아랍의 음식문화의 기본은 가족단위의 식사입니다.뿐만 아니라 가족단위의 초대문화 역시 발달했는데, 여기서 인간관계를 매우 중시함을 알 수 있어요. 한번 초대를 받으면 나중에 반드시 초대받은 사람을 대접해야한다고 해요. 그들은 시원한 음료나 따뜻한 차, 수프, 샐러드, 만두와 튀김, 양고기와 빵, 과일, 커피를 즐깁니다. 낮에는 너무너무 더우니까 밤에 주로 놀게 되는데 밤 11시에 요리를 시작해서 새벽 2시 정도에는 메.. 더보기
관타나모 안녕하세요 이송아입니다^^ 오늘은 진지한 주제로 포스팅을 할 건데요 . 그 주제는 바로 관타나모!! 국제법 시간에 살짝 발담그듯이 배운 관타나모에 대해 낱낱히 파헤쳐 드리겠습니다. 관타나모가 쿠바에 위치한 국제 테러범 수용소라는 것은 모두 국제법 시간에 배워 익히 알고 있는 사실이죠? 관타나모 수용소는 쿠바 남동쪽 관타나모 만에 설치되어 있는 수용소로 인권 유린 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도 미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비운의 장소입니다. 대체 어쩌다가 쿠바에 위치한 관타나모 수용소가 미국의 영향 하에 들어가게 되었을까요? 관타나모가 미국의 손아귀에 들어가게 된 기원은 미국-스페인 전쟁 시기로 거슬러 갑니다. 1514년 스페인은 쿠바의 전지역을 정복하고 .. 더보기
1~4차 중동전쟁을 정리해보자 1. 제 1차 중동전쟁 제 1차 중동전쟁은 1948년 5월 14일 이스라엘이 독립을 선포한 바로 다음날 시작되었습니다. 존재 자체를 용납 못한다는 거죠! 이집트, 레바논, 시리아, 이라크를 비롯한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을 일방적으로 침공했습니다. 전쟁 초반에는 병력으로 밀어붙인 아랍 국가들이 이기는 듯 했습니다. 전쟁을 시작하기 전부터 아랍국가는 자신만만했고, 사람들도 당연히 아랍이 승리할 것이라고 생각했고요. 그러나 이스라엘이 외국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는 변수가 있었죠!! 그러면서 전세가 역전되기 시작했습니다. 결국 1949년 1월 7일에 이스라엘의 일방적인 승리로 전쟁이 끝났고 이스라엘은 서부 팔레스타인 지역의 80%를 차지하는 등 영토까지 확장한 셈이 됩니다. (아래 지도는 전쟁 후 영토 변화를 나.. 더보기
헤드라인으로 보는 지난 주 중동! 2013. 05. 14 - 2013. 05. 19 안녕하세요 여러분 차장 김나연이에요!! www.bbc.co.uk에 들어가면 지난 주의 중동을 볼수 있게 해놨어요! 자 저는 그럼 이 기사들을 통해 지난 주 중동을 보여드릴까 합니다 항상 정치적이진 않은 거 같군요 기사의 전문을 해석하기보다는 간단히 요점을 추리고, 간단한 제 의견을 다는 형식으로 진행될겁니다. 그럼 거꾸로 가볼까요! 2013.05.19 SUN Syria army 'storms' rebel town Qusair 가 HEADLINE이네요 Al-Qusair는 한 지방의 이름입니다. 이 지역은 반군에게도 정부군에게도 작전상으로 요충지라고 하는군요. 그리고 이번에는 정부군이 이 지역을 차지한 것 같습니다. 반군 사상자는 70명이라고 하는데, 정부군에 대한 언급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un에서는 새로.. 더보기
제6회 아랍문화축전! 기쁜 소식 한가지 전달할게요!6.5~6.9까지 제 6회 아랍문화축전이 열려요!와와와와와아 엄청 기대되요~"2008년 부터 한국-아랍소사이어티에서 연례적으로 시행해 온 '아랍문화축전'은 한-아랍 간 쌍방향 문화교류사업의 일환으로서 한국과 아랍 간 상호 문화교류증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우리 국민의 아랍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아랍문화 종합 소개사업입니다. 한국-아랍소사이어티는 우리나라와 문화교류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아랍국가의 문화소개사업을 정기적으롯 ㅣ행함으로써, 우리국민이 직간접적인 아랍문화를 경험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이를통해 아랍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자 합니다. 나아가 국내 체류 및 거주 중인 아랍인들에게도 아랍문화 소개에 대한 한구의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줌으로써 한-아랍 간 민.. 더보기
World Economic Forum o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2013 더보기